정치]
“이곳은 중국이 인정해준 조선족의 땅”
[경향신문 2004-01-18 13:54:00]
두만강에는 푸른 물이 흐르지 않는다. 북한과 중국의 경계는 회색빛 얼음으로 창백하게 굳어 있었다. 얼어붙은 국경선이다. 이 선이 지도를 가르고 국적을 갈라놓았다. 어느덧 한국인의 머릿속에도 두만강은 얼어붙은 국경선이 되어버렸다.
2004년 1월 8일 중국 도문에서 훈춘에 이르는 도로에서 취재팀이 본 두만강은 강폭이 불과 15m도 되지 않았다. 한 반도의 머리 위에 굵게 그어진 선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초라한 모습이다.
일제 시대 독립운동을 위해 강을 넘어선 투사들도, 가난을 이기지 못해 간도로 넘어간 사람들도 강을 넘는다고 해서 결코 다른 나라로 간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두만강 너머에도 우리의 땅과 이웃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 그곳에서는 어느 누구도 이곳이 국경선이 아님을 말해주지 않았다. 얼어붙은 국경선 아래에서도 물은 흘렀다. 누군가 터놓은 얼음 도랑으로 물이 세차게 흘렀다.
기자 2명과 간도전문가 ㄱ교수로 구성된 3명의 현지취재팀은 중국땅에서 과거와 현재의 국경선을 다녀왔다. 결코 묻을 수 없는 과거의 역사와 이를 슬쩍 묻어버린 현재의 땅을 직접 눈으로 보려고 했다.
중국과 북한의 연결통로인 도문대교에서 발을 멈췄다. 도문시와 북한의 남양시 사이를 가로지르는 두만강 위의 다리였다. 약 100m에 이르는 도문대교의 중간에는 '변계선'이라는 중국어와 한글의 흰 글자가 페인트칠로 씌어 있다. 다소 바랜 글이었다.
=얼어붙은 국경선 두만강 =
하지만 더 이상 바래지길 바라지 않는 듯 중국은 '중조변경' '국경' '중조국경' '중국도문구안' '중조우의탑'이라는 현란한 표식물 5개를 세워놓았다. '중국도문구안(口岸)'이란 표식은 장쩌민 전 중국 주석이 1991년 6월 8일 다녀가면서 친필로 쓴 기념물이었다. 마오쩌둥 주석 시대의 2인자인 저우언라이와 덩샤오핑-장쩌민 전 주석이 북경에서 1,300㎞나 떨어진 이곳을 다녀갔다고 한다. 그만큼 중-조국경선을 중요하게 여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조우의탑'의 표식 밑에는 '도문강'이 장백산(백두산의 중국식 표기)에서 발원, 총길이는 490㎞에 이른다고 표기돼 있다. 도문강은 두만강의 중국식 표기이다. 한국과 중국의 경계선을 굳혀두고 싶은 중국의 뜻을 드러낸 것이다.
중국측은 1712년 백두산정계비에 나타난 분수령인 압록강과 토문(土門)강을 압록강과 도문(圖們)강으로 주장해왔다. 두만강의 중국식 표기인 도문강이 토문강이라는 주장이었다. 하지만 두만강은 백두산 천지 부근에서 압록강과 만나는 강이 아니었다. 정계비에 씌인 토문강은 북쪽의 만주벌판으로 흘러가는 송화강의 지류였고 이 지류의 동쪽에 속하는 간도는 우리땅이었다.
=중국 역대 주석 중-조 국경선 '관심' =
1월 9일 취재팀은 새로운 국경선이 되어야 할 송화강의 지류를 찾아 나섰다. 연길에서 백두산으로 가는 길 속에 지류들이 놓여 있었다. 백두산 인근에서 발원하는 송화강의 지류는 서쪽부터 두도백하(頭道白河)-이도백하-삼도백하-사도백하-오도백하이다. ㄱ교수가 지목한 토문강은 이도백하 또는 사도백하이다.
백두산 천지의 동남쪽에서 발원하는 토문강은 잠시 땅으로 스며든 건천이 되었다가 다시 땅 위로 솟아 송화강 본류로 흘러들어간다. 1855년(고종 22년) 조선과 청나라 간에 정계비로 인한 회담에서 감계사 이중하는 조정에 이렇게 보고했다.
"토문 주위의 형편으로 보아도 (정계)비의 동쪽으로 건천이 있고 100리 지나서 비로소 물이 나오는데 동북쪽으로 흘러 다시 북으로 꺾이며 송화강으로 유입합니다. 송화강은 흑룡강 상류의 한 줄기입니다. 길림-영고탑 등의 땅은 모두 그 안에 있습니다."
토문강 발원지는 현재 북한 지역에 있다. 그러나 토문강은 중국 지역으로 흘러들어간다. 중국 송강진을 지나 이도백하진으로 가는 길에서 사도백하를 만났다. '사도백하교'라는 빨간 표식이 15m 길이의 다리 위에 새겨져 있다. 6m 정도의 폭을 가진 하천은 얼어 있었고 그 위로 눈이 쌓여 있었다. 발자국이 어지럽게 이어져 있다. 하천 옆에는 잡목들이 군락을 이루었다. 300년 전 토문강물이 바로 이곳을 흘렀을 것이다. 간도 지역에는 태풍이나 장마가 거의 없어 하천의 범람이 아주 드물게 있을 뿐이라고 한다. 그만큼 수로가 크게 변하지 않았을 것이다.
=토문강 발원지 북한 지역에 있어=
토문강이 사도백하의 한 줄기라면 백두산 천지 옆에서 발원해 약 60㎞를 달려 이곳에 이르는 셈이다. 사도백하 위에서 백두산 쪽을 바라보았으나 백두산은 보이지 않았다. 중국 쪽에서는 천천히 고지대를 오르기 때문에 백두산 바로 앞에 이르기 전까지 정상을 볼 수 없다.
이도백하는 조선족이 많이 거주하는 이도백하진에 도착하기 바로 전에 있었다. 3m 정도의 폭을 가진 하천이 잡목 사이로 흘렀다. 파란 빛깔과 초록 빛깔이 섞인 물이었다. 다리의 표식은 보이지 않았다. 이곳에서도 백두산을 볼 수 없었다. 이도백하진을 지나 백두산으로 접어들면서 다시 이도백하를 만났다. 눈이 덮인 도로 옆을 흐르고 있었다. 이도백하에는 청둥오리떼가 영하 20도에 이르는 추운 날씨에도 유유히 물 위에서 노닐고 있다. 천지폭포로 다가가자 천지에서 흘러내린 이도백하는 김을 뿜어냈다. 온천수였다.
취재팀의 발길은 천지폭포 앞에서 멈추었다. 백두산 정상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보지는 못해도 천지는 그대로 있었을 것이다. 역사도 마찬가지다. 숨기려 해도 진실은 존재하고 있다. 300년이란 세월 속에 '토문'을 지우려 해도 결코 지울 수 없을 것이다.
토문강 동쪽인 간도의 길 위에서 만난 조선족은 우리 말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땅 뿐만 아니라 사람들도 우리와 닮아 있었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안에서 한국인은 외국인이 될 수 없었다.
도시 이름도 연길-용정-화룡-도문-훈춘, 모두 한국식이었다. 도로 표시는 한자로 적혀 있었지만 조선족들은 모두 한국식으로 읽었다. 한족(漢族)들까지도 한국식 표기로 부른다고 한다. 거리의 상점 간판에는 항상 한국어가 한문 위에 씌어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은 분명히 존재하고 있었다. 도문시 남시장에서 만난 조선족 김 모씨는 아들을 한국에 유학보냈다고 했다. 아들이 한국에서 계속 살기를 원하느냐는 취재팀의 질문에 김씨는 "이곳에서 나서 자랐는데 어디를 가겠어요"라고 말했다. 연길의 한 조선족 지식인은 "이곳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인정해준 조선족의 땅"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한민국 정부가 간도가 우리땅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잘라말했다. 중국 국적을 가진 조선족이 아니라 조선족 출신의 중국 국민이란 신분을 알 수 있는 대목이었다. 하물며 서울의 한 식당에서 일하던 조선족 종업원 아주머니도 "난 중국 사람이야요"라고 말하지 않았던가.
=사람과 도시 이름 모두 한국식=
조선족은 일제 시대 일본과 중국, 그 이후 공산당과 국민당의 틈바구니에서 자생적으로 살아남아야 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는 남한과 북한으로부터 사실상 버림을 받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면서 억지로 중화인민공화국 의 '인민'이 될 수밖에 없었다. 1960-70년대 문화대혁명 당시에는 '민족주의 타파'라는 이름 아래 또 한 번의 고난을 당해야 했다. 그러나 집 구조만 봐도 조선족의 집이라고 알 수 있을 정도로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고집스럽게 지켜왔다. 땅은 잃어버렸지만 사람을 잃지는 않았던 것이다.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은 위기를 겪었다. 수만 명의 조선족이 한국으로 왔다. 불법 체류, 취업 사기, 처녀들의 결혼 이민 등으로 혼란을 겪었다. 조선족 자치주 안에서 과반수이던 조선족도 40%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줄어들었다.
최근 조선족은 또다른 위기를 겪고 있다. 중국 정부는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키려는 동북공정에 조선족 학자들을 동원하고자하고 있다. 한국에서 조선족 동포에게 한국 국적을 부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중국 정부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간도영유권 주장은 이들에게 또 한 번 '목숨을 건 선택'을 강요하는 셈이 될 것이다.
한 조선족 지식인은 "우리도 같은 마음이지만 이미 현실은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취재팀의 ㄱ교수는 "영토 문제에서는 땅과 사람이 결국 밀접한 관련을 가질 수밖에 없다"면서 "간도 문제는 땅만 갖고 주장할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살고 있는 조선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족과 취재팀 사이에는 문화의 국경이 없었다. 그러나 그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인민이었고, 취재팀은 대한민국 국민이었다. 무엇이 이렇게 갈라놓았을까. 얼어붙은 국경선이었다. 눈길 위에서 취재팀은 '닫힌 국경선'이 아니라 두만강을 넘어서는 '열린 국경선'을 꿈꾸었다.
〈연길/윤호우 기자 hou@kyunghyang.com〉
=간도취재후기…기자 신분 숨기고 긴장 속 취재=
모든 준비가 만만치 않았다.
동북공정 프로젝트에 대한 우리나라의 들끓는 반응이 중국에 전해진 후 한국 언론의 현지 취재활동에 대한 방해는 물론이고, 취재진에 대한 중국 공안의 감시와 무차별적인 검문이 뒤따르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었다. 취재 계획이 알려졌을 때 과연 일정대로취재를 마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섰다.
인천국제공항에서 2시간 30분 만에 도착한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공항. 설을 맞아 고향을 찾는 조선족들이 눈에 많이 띄었다. 중국 공안의 검색은 까다로웠다. 여권을 두 번 세 번 살펴보고 입국자와 사진을 거듭 대조했다. 공안 손에 이끌려 어디론가 가는 조선족의 모습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었다. 어떤 이유인지 따지기 앞서 긴장감을 감출수 없었다. 어쨌거나 우리는 특별한 문제 없이 입국 심사장을 통과했다. 드디어 영하 20도의 동토(凍土)의 땅 간도에 들어설 수 있었다.
하지만 취재 일정 내내 긴장을 풀 수 없었다. 끝내 기자의 신분을 밝히지 못한 이유다. 연변조선족자치주 내 조선족의 생활상을 다룬 서적 출판을 위해 이 지역을 방문한 척했다.
우리가 ㄱ 교수의 신원을 밝히지 않고 익명으로 내세우는 것도 앞으로의 학술활동과 자료수집 등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서다. 간도영유권에 대한 문제제기를 지속적으로 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였다.
한겨울의 연길 시내는 집집마다 굴뚝에서 뿜어져나오는 석탄연기로 안개도시를 방불케 했다. 이곳이 조선족의 자치주임을 분명하게 말해주는 한글 간판과 갖가지 잡다한 물품을 팔고 있는 재래시장은 특히 낯이 익었다. 그렇게 간도의 현재는 우리의 1970년대와 많이 닮아 있었다.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한 물을 따라 지도를 짚어가며 송화강 지류인 토문강의 실체를 찾는 일은 '간도 되찾기'에서 중요한 답사 일정이었다. 하루에도 스무 번 이상 변한다는 백두산의 눈보라를 뚫고 천지폭포를 만났고 그 물줄기를 따라 역사의 진실에 도달해가는 쾌감은 역사의 현장에 와 있다는 보람 이상의 소득이었다.
역사의 진실을 밝히고 민족의 자긍심을 되찾기 위한 간도영유권에 대한 취재팀의 기획기사는 앞으로도 지면을 통해 계속될 것이다.
〈유병탁 기자 lum35@kyunghyang.com〉